title:
  • AWS 배포 기초 (RDS 데이터베이스 설정) - 2
date:
  • 2024-11-04 20:57
tags:
  • AWS
  • RDS

AWS 배포 기초 - 1 요약

이전 포스팅은 해당 링크를 참조하세요

AWS 배포 기초 (기초 컴퓨팅 지식이 있는 사람들을 위한) - 1

사용기술

  1. AWS
  2. RDS
  3. Elastic IP
  4. SNS
  5. Event Bridge

RDS

우선 RDS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RDS는 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비스입니다.

즉 AWS내에서 운영하는 DB 관리 서비스라는거죠.

로컬 환경에서는 디버깅 용도로 로컬 DB에 연결해서 이를 사용했다면은 AWS에서 배포를 진행한다면은 필수는 아니지만 분리해서 관리하고, 혹시나 실수로 인스턴스를 삭제해, 인스턴스안에 있는 데이터를 날려먹지 않게 도움을 줍니다.

또한, RDS내에서 자동으로 최적화를 진행해 여러가지 상황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를들어 트래픽, 백업, 트렌젝션, 병목 등등... 여러가지를 관리해주기 때문에 매우 편하죠. 그렇다면 RDS가 최적화 하는것에 대해서 조금만 자세히 알아봅시다.

트래픽

RDS는 자동으로 쿼리 성능을 최적화하여 여러 인스턴스에서 들어오는 요청을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이를 통해 다중 서버 환경에서도 높은 트래픽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습니다. 쿼리 캐싱, 읽기 전용 복제본 활용 등이 이 과정에 포함됩니다.

자동백업

RDS의 자동 백업 기능은 백업과 복구를 간편하게 만들어 주며, 지정한 유지 기간 동안 백업을 보관합니다.

이 데이터는 필요할 경우 다른 AWS 리전이나 다른 플랫폼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어 유연한 데이터 관리가 가능합니다.

CloudWatch 통합 :: 모니터링 및 경고

CloudWatch는 RDS의 성능 지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CPU 사용률, 메모리 사용량, I/O 성능 등 다양한 지표를 제공합니다.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경고를 통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게 하여 안정성을 높입니다.

스케일링

RDS는 수요에 따라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트래픽이 급증하는 경우에도 시스템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하지 않을 때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자동 스케일링은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를 관해서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은 다음 링크를 참조하시면 좋겠습니다.

[AWS] RDS란 무엇인가?

RDS 프리티어

자 가장 중요한거죠. RDS의 프리티어는 어디까지 적용되냐는겁니다.

한번 알아봅시다.

프리티어 인스턴스

  1. db.t3.micro
  2. db.t4g.micro

사용가능 시간

총 750시간 까지

스토리지 용량

20GB 까지

이정도만 알아두셔도 프리티어내에서 사용하기엔 충분합니다.

하지만 더 많은 서비스를 활용해보실 생각이라면, 또는 더 자세히 알아보실분은 다음 링크를 참조하세요.

Amazon RDS 프리 티어

RDS 생성하기

자, 서비스에서 RDS를 검색해서 들어가봅시다. 귀찮은 분이라면 다음 링크를 클릭하세요.

Amazon RDS

하단으로 스크롤 하다보면 데이터베이스 생성이 있을겁니다. 클릭해줍시다.

undefined

그럼 여러 엔진을 선택이 가능할텐데 SAW의 DB 엔진은 MySQL이니 MySQL을 선택해줍시다.

undefined

중요!! 프리티어!!

하단으로 스크롤을 내리다보면은 템플릿이라는 항목이 보이실겁니다.

여기서 프리티어를 선택하셔야 프리티어가 가능해집니다.

undefined

나머지는 적절히 입력하시면됩니다. 다른 옵션도 있습니다만... 그것까지 다루려면은 많은것들을 복잡하게 다뤄야 하기 때문에 생략하고 넘어가겠습니다.

하지만 단 한가지, 조금 짚고 넘어가야하는 설정이 있습니다.

연결 설정

하단에 계속 스크롤링을 하다보면 연결이라는 설정이 있을겁니다.

이 연결 설정에서 두가지 옵션이 있어서 조금 혼동이 오실겁니다.

undefined

간단하게 생각하면 두개의 설정은 각각 이렇게 짚고 넘어가면 됩니다.

  1. 어떤 인스턴스던 사용 가능함
  2. 단일 EC2만 사용가능함.

보안성을 위해서는 2번째 옵션으로 단일 EC2만 사용가능하게 하고, 외부 접속은 일체 막는게 좋겠지만 지금은 1번째 옵션을 선택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그래야지 학습할게 하나 더 생기고 나중에 응용이 가능해집니다.

그렇게 생성을 누르시면은 생성이 완료되었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EC2를 생성하고, RDS를 연결하는 포스팅을 진행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